우뇌를 깨우는 데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손쉬운것으로 '빠른 책 읽기' 를 꼽을수 있다
천천히 읽으면 우뇌에 자극을 줄수 없다. 천천히 읽는 것은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좌뇌 중심이라 우뇌를 깨울수 없다.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으로 집중력이 떨어진다
좌뇌는 좁은 시야를 가지고 있다.
직선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현실적 생활에 적합하다. 논리적인것, 계획적인것을 좋아하지만
용량이 적기에 많은 것을 기억할수는 없다.
우뇌는 어떨까? 넓은시야 좌뇌가 쉬면 이때 활동을 시작한다. 용량이 매우 많다.
직감적이고 병렬식이라 순간적으로 많은 정보를 저장할수 있다.
생각에관한 생각
우뇌는 공간을 활용하는 건축등 예체능을 좋아하고 민감한 감수성
민지는 7살때 부터 매일 한 뇌 훈련 덕분에 뇌신경망이 활성화 되고 뇌세포 간에 수초가 많이 형성 되어 집중력, 주의력, 기억력이 향상 HTTP://BLOG.NAVER.COM/FREENAAA 게시판
우리가 책을 읽는다해도 책의 모든내용을 기억할수 있는가?
자신에게 인상적인 부분만 기억하게 된다. 빠른책읽니는 우뇌를 활용하여 세세한 부분까지도 다 기억하게 된다
빠른 책읽기로 남은 시간을 활용해 이미지화 하는 습관
빠른책읽기로 우뇌가 활성화 디어 글을 이미지로 보기 때문이다. 우리뇌는 순차적인 글읽기는 단기기억에 저장하지만
이미지로 보는것은 장기기억에 저장한다.
또 빠른 책읽기를 하는 동안에는 유추와 예측능력을 최대화 시키고 집중하기에 웬만한 이미지는 아주 쉽게 기억이 된다.
긜고 우뇌는 정서를 담당하는 편도체와 해마의 연결이 활성화되어 이미지와 스토리 연결이 쉬워진다.
빠른책읽기는 우뇌를 활성화 시키고 이미지를 글로 보는 훈련
빠른책읽기는 굉장한 집중력을 요하는 훈련 ,호흡으로 긴장을 이완시키고 집중력을 고조 시킨다
중요한것은 내용을 이해하는것이 아니라 우뇌를 활용하여 이미지로 빠르게 뭔가를 인지하는 훈련..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거나 안보인다고 머뭇거리게 되면 읽게 되고 읽으면 1분안에 볼수 없다.
내용이 들어오지 않으면 반복해서 보면 된다.
빠른책읽기를 하려면 처음에는 좌뇌를 쉬게하는 것이 관건
성인들은 기존의 습관 때문에 계속해서 좌뇌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그래서 책읽기전에 충분한 이완이 필요
즉, 준비과정이 필요한것이다. 또 빠른 책읽기는 굉장히 집중력을 요하는 훈련이다.
보이지 않는 단어를 억지로 보려 하면 좌뇌로 예전처럼 읽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중요한것은 내용을 이해하는것이 아니라 우뇌를 활용하여 이미지로 빠르게 뭔가를 인지하는 훈련을 하는것
그러니 이해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것을 거듭 당부한다. 보이는것(단어) 만 보는데 더욱 집중할 필요가 있따.
내용이해가 되지 않거나 안보인다고 머뭇거리면 읽게 되고 읽으면 1분안에 볼수 없다. 빠르게 보더라도
그림을 떠올렸다면 내용의 반을 이해하게 된다. 글자를 그림보듯이 순식간에 보는것이 중요하며 단어가
잘 보이지 않았다면 다시 1분동안 보도록 한다.